'주드 로' 태그의 글 목록 :: 영화 보는 영알못

*스포일러 포함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이 충격적인 결말 이후 <어벤저스: 엔드게임> 이전에 개봉하는 MCU 영화들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져 있다. <앤트맨과 와스프>는 MCU 내 자신의 역할과 위치를 재확인하면서, 두 편의 <어벤저스> 사이에 중간다리를 놓는 역할을 충실하게 해냈다. 반면 <인피니티 워>의 쿠키영상에서 그 로고만이 공개되었을 뿐인 <캡틴 마블>은 기대 반 걱정 반이었다. 사실 MCU의 첫 여성 슈퍼히어로 단독 영화라는 점에서 기대가 더 컸다. 물론 캡틴 마블/캐롤 댄버스를 연기한 브리 라슨이 “<캡틴 마블>은 페미니즘 영화”라고 발언한 뒤부터 ‘자칭’ 팬보이들의 불매 선언이 이어지고 있기는 하다. 역대 MCU 솔로 영화 중 최대 예매량을 기록 중이라 흥행에 큰 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말이다. 더욱이 MCU 최초로 여성 감독이 연출(애너 보든이 라이언 플렉과 공동연출)을 맡았다는 점에서 많은 기대가 되었다.



<캡틴 마블>은 작년 말 세상을 떠난 스탠 리를 추모하는 오프닝 타이틀로 시작한다. 지구에서의 기억을 잃은 캐롤 댄버스는 비어스라는 이름으로 크리족의 전사로 생활하고 있다. 캐롤은 크리족 멘토인 욘-로그(주드 로)와 미네르바(젬마 첸), 코라스(디몬 하운수) 등으로 이루어진 팀과 함께 활동 중이다. 어느 날 슈프림 인텔리전트에게 외진 행성을 침략한 스크럴족과 그들의 리더 탈로스(벤 맨델슨)를 체포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캐롤은 작전 중 스크럴족에게 납치당하고, 이들이 끄집어 놓은 지구에서의 기억을 떠올리며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심하게 된다. 탈출 과정에서 지구로 추락한 캐롤은 쉴드 요원 닉 퓨리(사무엘 L. 잭슨)와 전투기 조종사 시절 친구인 마리아(라샤나 린치)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지워진 과거를 찾아내고, 캡틴 마블로 각성하게 된다.



 <캡틴 마블>은 페미니즘 영화다. 영화를 보고 나서 이 문장에 딴지를 걸기는 어려울 것이다. <캡틴 마블>은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고스트 버스터즈>, <원더우먼> 등 앞서 개봉한 여성 히어로 중심의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만들어 둔 길을 따라 질주한다. “여자라서 위험한 운동/군인 훈련/전투기 조종사는 안 돼”라는 말을 듣고 살았던 과거, MCU 세계관 내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얻었음에도 기억이 지워지고 크리족에 의해 힘을 제한당하는 현재는 캐롤 댄버스가 캡틴 마블로 각성하면서 부서진다. 영화 내내 여성에게 가해지는 직설적인 차별, 보호를 명목으로 한 통제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고 난 이후의 캐롤 댄버스에 의해 산산이 박살 나고 만다. “나에게 너 자신을 증명해보라”는 욘-로그의 말에 “내가 그걸 증명할 필요는 없지”라고 말하는 캡틴 마블의 대사는 여성의 삶에 놓인 끝없는 증명의 장벽을 진부한 장르 클리셰와 함께 박살 내 버린다.



 캐롤 댄버스가 캡틴 마블로 거듭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캐릭터들이 여성들이라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캐롤 댄버스의 절친이자 가족 같은 인물인 마리아는 정체성을 일깨워주고, 그의 멘토와 같은 마-벨(아네트 베닝)은 캡틴 마블로 각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었으며, 마-벨의 겉모습을 한 슈프림 인텔리전트는 영화의 빌런으로써 각성의 기회를 제공한다. 캐롤 댄버스의 여정에서 남성 캐릭터들은 과도한 비중을 차지하지도 않고, 도리어 캐롤의 각성을 방해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가령 닉 퓨리는 적당한 동행의 수준으로 등장하고, 우주 난민(이것을 현실세계의 전쟁 난민 문제와 일대일로 연결하는 것은 조금 문제가 있을 것이다)인 스크럴족의 탈로스는 각성에 대한 부차적인 기회를 제공하며, 욘-로그는 센트럴 인텔리전스의 하수인 역할에 불과하다. 결국 <캡틴 마블>은 여성 주인공이 여성 조력자와 함께 여성(의 모습을 한 인공지능) 빌런에 대항하는 이야기이다. MCU의 영화 중 이렇게 여성으로 가득한 영화가 나온 적이 있었나?



 서사적으로도 꽤나 흥미롭다. 캐롤 댄버스의 여정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피터 퀼(크리스 프랫)을 연상시키지만, 후자의 여정이 지루해지게 된 함정을 피해 간다. 두 캐릭터 모두 지구인으로 태어났지만, 외계인에게 납치되었고, 그들의 피/DNA가 섞인 채 외계의 방식으로 살아온 인물이다. 피터에게 납치는 유사부자관계와 백인 남성 너드로 이어지는 과정이었지만, 캐롤에겐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과정이었다. 다시 말해, 캐롤 댄버스는 납치를 통해 잃어버린 기억과 시간을 오롯이 ‘자신’을 통해 다시 채우며 성장한다. 그러나 피터 퀼은 자신의 뿌리에 집착하고, 이는 속편의 진부한 이야기로 이어지고 말았다. 단순히 두 유사한 플롯의 우열을 가리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캡틴 마블>의 이야기가 만들어내는 후반부의 해방감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를 비롯해 다른 MCU의 영화에서 만나보지 못한 것이다. 동시에 이러한 플롯은 <엔드 게임> 이후 제작될 속편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펼쳐나갈 자유도를 제공한다. 같은 세계관의 다른 영화들에서 보지 못한 해방감과 자유, 그리고 이를 만끽하며 질주하는 여성 슈퍼히어로의 모습이 담긴 <캡틴 마블>의 후반부는 그야말로 페미니즘적이다. 이제는 짧지 않은 역사를 지니게 된 슈퍼히어로 장르이지만, <캡틴 마블>에 와서야 드디어 ‘페미니스트 슈퍼히어로’를 만나게 되었다.


<해리 포터> 시리즈가 ‘위저드 월드’라는 세계관으로 명명된 뒤의 두 번째 작품,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를 관람했다. <신비한 동물사전>에 이은 이번 작품은 마법부 교도소를 탈출한 그린델왈드(조니 뎁)가 순혈 마법사들을 모아 머글들을 학살하려 하자, 덤블도어(주드 로)는 뉴트 스캐멘더(에디 레드메인)에게 이를 저지해 달라 부탁한다. 뉴트는 티나(캐서린 워터스톤), 티나(엘리슨 수돌), 제이콥(댄 포글러) 등의 친구들과 그린델왈드를 저지하려 하지만, 레타 레스트렝(조이 크라비츠), 테세우스 스캐멘더(칼럼 터너) 등과 이해관계가 엮이며 상황은 복잡해진다. 그 와중에 그린델왈드는 덤블도어를 죽이기 위해 내기니(수현)과 함께 움직이고 있는 크레덴스(에즈라 밀러)를 포섭하려 한다.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는 ‘위저드 월드’ 최악의 작품이다. 가정폭력범 조니 뎁의 출연과 그를 옹호하는 J. K. 롤링, 데이빗 예이츠의 감독이 촉발한 논란이나 내기니 캐릭터에 얽힌 인종차별 논란을 차치하고 영화만으로 평가한다 해도, 이번 영화의 완성도는 처참하다. 수많은 인물들이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동안 이들을 묶어주는 큰 줄기의 이야기는 제대로 굴러가지 않으며, 그린델왈드의 범죄라는 제목이 무색하게 그린델왈드는 그저 얼굴만 많이 비출 뿐 이렇다 할 범죄행각을 저지르지도 않는다. 이렇다 보니 <신비한 동물사전>의 134분짜리 쿠키영상을 액션과 여러 동물들의 등장을 끼워 만든 것을 보고 있나 싶은 생각도 들 지경이다. 게다가 <트랜스포머> 4, 5편 이후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중 가장 어색한 편집을 보여주기도 한다. 장면 뒤에 붙는 장면의 톤이 제대로 맞지도 않고, 갑작스레 등장하는 유머는 이걸 웃으라고 배치한 것인 지, 비웃으라고 배치한 것인지 헷갈리는 수준이다. 심지어 프레임 안에서 사라졌던 인물이 편집에 의해 갑자기 재등장하기도 한다. 더욱이 여러 캐릭터들(대부분 여성 캐릭터)은 저 인물을 이렇게 쉽게 버려도 되나 싶을 정도로 그냥 소비되거나 얼굴만 비추고 있고, ‘신비한 동물들’이라는 제목을 붙인 만큼 다양한 동물들이 등장하긴 하지만, 니플러 정도를 제외한 신비한 동물들의 쓰임 마저 배경 수준에 머무르고 만다.



 이러한 완성도는 J. K. 롤링의 부족한 각본 실력과 데이빗 예이츠의 수준 미달의 연출력이 맞물린 결과처럼 보인다. 롤링은 ‘신비한 동물들’ 시리즈를 통해 처음 각본을 썼는데, 그는 각본을 마치 <해리 포터> 소설처럼 쓴다. 소설에선 챕터 구분이 명확하고 이를 통해 다른 장면에서 다른 떡밥을 배치할 수 있었겠지만, 각본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쓴다면 마구잡이로 이야기를 건너뛰며 떡밥만 남길뿐이다. 시리즈의 팬들이 쓴 무수한 팬픽보다 아쉬운 수준이다. 그로 인해 영화에 인서트 숏의 부족이 발생하고, 그저 각본을 영상화하는 것 이외에 관심이 없어 보이는 데이빗 예이츠는 이러한 부족함을 보충하지 못한다. 그저 신비한 동물들을 보여주고, 시리즈의 오랜 팬들이나 알법한 여러 떡밥들만 뿌린다고 재미있는 영화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완결된 플롯, 아니 떡밥에 너무 충실한 나머지 플롯이라고 부를만한 것이 소멸해버린 이 영화가, 액션 장면들의 물량공세를 통해 플롯의 빈자리를 채워보려 했던 <트랜스포머>와 무엇이 다른 것인지 알 수 없다. 어쩌면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는 영화에 쏟아지는 수많은 논란들을 무시하고, 그냥 마음대로 시리즈를 이어가겠다는 롤링과 예이츠의 답처럼 느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