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시 데이비스' 태그의 글 목록 :: 영화 보는 영알못

 줄리 앤드류스에게 오스카를 안겨준 작품이자, 60년대 뮤지컬 영화, 디즈니 영화의 황금기를 이끈 작품인 <메리 포핀스>의 속편이 55년 만에 개봉했다. 엄밀히 말하면 전작의 플롯을 고스란히 반복하는 리메이크의 방법을 택했지만, 이야기적으로는 전작에서 25년이 흐른 시점인 1935년 경제대공황 시기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 어느덧 어른이 된 마이클(벤 휘쇼)과 제인(에밀리 모티머). 마이클은 결혼하여 애나벨(픽시 데이비스), 존(나다니엘 살레), 조지(조엘 도슨)의 세 남매를 두고 있지만, 1년 전 아내가 병으로 세상을 떠난 상태이다. 어느 날 아버지 때부터 살고 있던 집에 은행장 윌킨스(콜린 퍼스)가 발행한 압류 통지서가 붙게 되고, 마이클은 집을 잃을 위기에 처한다. 대공황 시기에 일찍 철이 든 애나벨과 존은 가정부 에린(줄리 월터스)과 마이클을 도와 가사를 돕지만, 집을 압류당할 위기에 처한 마이클은 전전긍긍한다. 그러던 중 메리 포핀스(에밀리 블런트)가 돌아와 아이들을 돌보겠다는 제안을 한다. 메리 포핀스와 세 남매는 가로등 점등원인 잭(린-마누엘 미란다)과 함께 톱시(메릴 스트립) 등을 만나는 모험을 하게 된다.



 앞서 언급했지만, 영화는 전작의 플롯을 고스란히 따라간다. 해고-집의 압류의 위기를 겪는 가부장 앞에 아이들을 돌봐 줄 마법의 유모가 나타나고, 아이들은 그림 속(이번엔 도자기의 그림 속)에서 환상적인 모험을 하고, 은행에 가게 됐다가 아버지를 해고의 위험에 빠트리고, 메리 포핀스와 아이들의 여정에 함께하는 의문의 남자가 펼치는 뮤지컬 시퀀스가 이어지며, 결국 가족의 위기가 극복되며 모두가 함께하는 뮤지컬 시퀀스로 마무리되고 메리 포핀스는 다시 떠난다. <애니>, <시카고>, <나인> 등 뮤지컬 영화로 이름을 알린 롭 마샬 감독이 <숲속으로>에 이어 두 번째로 디즈니와 협업한 작품인 만큼, 그의 전공인 뮤지컬과 디즈니의 가족적인 분위기가 결합된 작품이다. 서프러제트였던 전작의 어머니 캐릭터를 노조 활동가인 제인이 이어받는다던가, 1차 대전 직전의 시대 분위기 속에서 영국의 제국주의를 슬그머니 드러냈던 전작의 몇몇 요소가 경제대공황 시대로 옮기면서 누그러지는 등 2018년에 제작된 영화다운 변화가 눈에 띈다. 



 특히 전작에 비해 발전된 기술력을 십분 활용한 뮤지컬 시퀀스들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가장 놀라운 장면은 도자기 위의 그림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이다. 전작에선 단순히 그림 속으로 들어간 장면이 <스페이스 잼>이나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와 같은 실사와 셀 애니메이션의 결합으로 완성되었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기존의 방식에 더욱 많은 기술적 첨가가 들어간다. CG를 활용하여 도자기, 팝업북, 애니메이션, 실사의 질감을 뒤섞어버리는 시각적 황홀경을 보여준다. 종종 너무 화려하기에 피로해지기도 하지만, 전작의 애니메이션 시퀀스가 지금의 시각으로는 심심하다고 느껴지는 것을 생각하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는 생각이 든다. 도리어 후반부 등장하는 잭과 점등원들의 뮤지컬 시퀀스는 전작의 굴뚝 청소부들의 뮤지컬 시퀀스에 비해 안전하다는 생각이 든다. 전작이 몽타주와 트릭을 가미하여 시네마틱한 화려함을 보여줬다면, 이번 작품의 점등원 시퀀스는 브로드웨이 뮤지컬을 고스란히 촬영한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메리 포핀스 리턴즈>는 전작의 장점만을 골라, 2018년에 할 수 있는 것들로 훌륭하게 만들어낸 작품이다. 앞서 언급한 도자기 그림 시퀀스는 물론, CG를 통해 구현된 목욕 시퀀스 등은 뮤지컬 황금기 시기의 영화들이 지닌 화려함을 현재에 걸맞게 다시 구현한다. 여전히 소년성을 지닌 벤 휘쇼가 연기하는 유약한 가부장의 모습과 경제대공황 시기라는 배경은 브렉시트에 직면한 영국을 은연중에 드러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메릴 스트립이 연기한 톱시가 등장하는 시퀀스는 배우의 재능이 만들어낸 흥겨움으로 가득한 장면이다. 무엇보다 메리 포핀스를 연기한 에밀리 블런트는 줄리 앤드류스의 오리지널에 (능가하진 못하더라도) 걸맞은 모습을 보여준다. <메리 포핀스 리턴즈>라는 제목처럼, 메리 포핀스의 귀환 만으로로 이 작품은 충분히 관람할 가치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