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채' 태그의 글 목록 :: 영화 보는 영알못

 재중동포 출신으로 <두만강> 등의 작품에 자신의 정체성을 담아내면서, <경주>, <춘몽> 등에 작품을 통해 한국의 지역색을 영화에 담아온 장률 감독이 신작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내놓았다. 이번 작품은 제목처럼 군산에서 촬영된 작품이다. 송현(문소리)이 남편과 이혼하자 윤영(박해일)은 그에게 갑작스러운 군산 여행을 제안하고, 둘은 군산에 도착한다. 둘은 어느 민박집에 묵게 되고 송현은 그곳의 사장(정진영)에 대해, 윤영은 사장의 딸인 주은(박소담)에게 묘한 호기심을 품게 된다.



 영화는 크게 군산을 담은 1부와 윤영이 사는 연희동과 신촌을 담은 2부로 크게 나뉜다. 영화의 제목이 뜨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뉘는 영화의 전반부와 후반부는 우로보로스처럼 꼬리에 꼬리를 물고 반복되는 시간선을 그린다.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앞선 시간대에서 발생한 것임을 알려주는 장치들이 여기저기 흩뿌려져 있지만, 만나는 사람마다 “우리 예전에 어디선가 만나지 않았나요?”라며 묻는 윤영의 대사는 뒤섞인 시간을 그대로 뒤섞이게 방치한다. 마치 우리가 존재하는 순간은 결국 과거와 미래와 현재가 동시에 존재하는 교차점이기에 굳이 시간선을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이야기하는 것만 같다.



 윤영과 송현이 군산에 갔을 때 묵는 민박 사장은 재일교포이다. 자폐증이 있는 그의 딸 주은은 일본어로 이런저런 말들을 중얼거린다. 군산에는 여전히 일본식 주택들이 남아있고, 그들이 묵은 민박도 그러한 주택이다. 그곳은 사각형으로 순환하는 듯한 닫힌 구조를 지닌 공간이다. 인물들은 그 사이를 계속해서 돌아다닌다. 백현진이 연기한 조선족 인권운동가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고 울부짖지만, 그는 조선족의 말투를 모방하는 조선족이 아닌 사람이다. 그는 역사를 아는 것일까, 아니면 역사를 이용하는 것일까? 어느 쪽이든 그가 역사가 교차하는 어느 지점에 존재하기에 저러한 언행이 가능한 것일 것이다. 장률은 군산과 신촌을 배경으로 한중일의 역사가 교차하는 공간과 인물들 배열한다.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가 지닌 시간 구조는 교차와 순환을 만들어내며 인물들의 행동과 역사를 살포시 겹쳐 놓는다.



 결국 장률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가 도달하는 지점은 그의 전작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시간의 순환, 교차성, 역사, 재중동포라는 정체성 등이 어지럽게 겹치고, 그 위에 인물들이 다시 한번 겹치면서 장률의 작품이 탄생한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 윤영은 자신의 서울 집에서 가사도우미로 일하는 아주머니(김희정)의 큰할아버지가 자신이 흠모하는 시인 윤동주의 사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장률은 흐트러진 시간의 순환선 안에 우연들을 툭 하니 던져 놓는다. 역사, 지역, 민족 정체성은 결국 우연의 총체일 뿐임을, 그는 이 영화를 통해 다시 한번 확인할 뿐이다.

고구려 말기, 당나라 20만 대군의 공격에 맞서 싸워 승리한 안시성 전투를 다룬 첫 영화가 개봉했다. 영화는 안시성 전투 직전의 전투에서 살아남은 사물(남주혁)이 반역자인 양만춘(조인성)을 암살하라는 연개소문(유오성)의 명령을 받고 안시성으로 떠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사물이 목격한 양만춘은 안시성 백성들의 말처럼 “안시성 그 자체”인 인물이었다. 당 태종 이세종(박성웅)의 공격에 맞서 추수지(배성우), 파소(엄태구), 백하(김설현), 풍(박병은), 활보(오대환) 등의 용맹한 부하들과 함께 뛰어난 전략으로 승리를 거두는 것을 목격한 사물은 연개소문의 명령과는 달리 양만춘을 돕게 된다. 사실 안시성 전투를 영상화한 작품이 <안시성>이 처음은 아니다. <삼국기>나 <연개소문> 등의 드라마에서 등장한 적이 있으며,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의 초반부에도 안시성 전투가 등장한다. <안시성>의 안시성 전투는 <대조영> 속의 묘사와 유사하다. 아니, 전투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영화의 감성이 유사하게 느껴진다.



 때문에 <안시성>은 영화의 드라마적인 부분은 관객들이 익숙하게 느낄 서사와 감성에 맡기고, 안시성 전투에 스펙터클을 재현하는데 주력한다. 문제는 영화의 연출자가 액션 연출에 그다지 능하지 않은, <내 깡패 같은 애인>과 <찌라시: 위험한 소문>의 김광식 감독이라는 점이다. 다행히도 액션 시퀀스들이 같은 시기 개봉작인 <물괴>처럼 초라하다던가, 올해 다른 한국영화들처럼 엉성하지는 않다. 다만 액션에 딱히 기술을 갖지 못한 연출자인 만큼 다른 영화들에서 가져온 레퍼런스들의 나열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아쉽다. 영화를 보면서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의 헬름협곡 전투를 연상시키는 공성전, 마이클 베이 스타일의 슬로우 모션, 오우삼의 <적벽대전> 장예모의 <그레이트 월>, 잭 스나이더의 <300>, 리들리 스콧의 <킹덤 오브 헤븐> 등 수많은 영화들의 공성전 장면이 떠오른다. 물론 영화를 안정적으로 만들기 위해 적절하게 레퍼런스를 활용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 점철되어 있으며 영화 고유의 포인트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점은 아쉽기만 하다. 한국의 다른 사극 영화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거대한 스케일을 선보였다는 것 외에 별다른 의의는 찾기 힘들다. 또한 당나라가 쌓아 올린 토성이 무너지는 장면의 스케일은 재난영화를 방불케 할 만큼 거대하지만, <대조영>의 같은 장면만큼 감정적인 울림을 주지는 못한다.



 <안시성>의 주요한 문제는 이야기를 제대로 쌓아 올리지 못한 것에 있다. 백성의 위치에서 그들의 삶을 돌보는 성주 묘사는 진부하고, 감정을 고조시키기 위한 캐릭터 소비(특히 정은채가 연기한 신녀 캐릭터는 오로지 감정의 고조만을 위해 존재한다)는 짜증을 유발하며, 억지로 감정을 끌어올리려는 후반부의 플래시백은 여전한 한국영화의 고질병이다. 사실 영화의 감정선이 제대로 성립되지 않는 것은 미스캐스팅의 영향이 크기도 하다. 물론 조인성의 잘못은 아니다. 조인성이 양만춘을 연기하는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없지만, <대조영>의 최수종 같은 연기를 요구하니 배우 본연의 톤과 연출가가 요구하는 캐릭터의 톤 사이에서 불협화음이 일어난다. 영화의 지향점에 맞지 않는 배우를 캐스팅하니, 감정선이 제대로 쌓일 리가 없다. 때문에 <안시성>은 <대조영> 속 안시성 전투를 거대한 스케일로 확장한 수준에 그치고 만다. 다만 이러한 규모의 사극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진 않지만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볼 수는 있을 것 같다.

'영화 리뷰 > 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상> 이종석 2018  (0) 2018.09.23
<더 넌> 코리 하디 2018  (0) 2018.09.21
<안과 밖> 장은주 2017  (0) 2018.09.17
<이야기> 제니퍼 폭스 2018  (0) 2018.09.16
<업그레이드> 리 워넬 2018  (0) 2018.09.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