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빈' 태그의 글 목록 :: 영화 보는 영알못

*스포일러 포함


 <용서받지 못한 자>로 잊지 못할 데뷔를 한 윤종빈 감독이 <군도: 민란의 시대> 이후 오랜만에 신작을 내놓았다. 90년대 북한 핵개발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가로 위장한 안기부 공작원,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린 박석영(황정민)의 실화를 담아낸 작품이다. 영화는 그가 안기부 공작원으로 스카우트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박석영은 안기부 실장 최학성(조진웅)의 명령에 따라 북한의 외화벌이를 책임지는 당의 간부 리명운(이성민)과 접촉하기 위해 베이징으로 떠난다. 몇 개월 간의 노력 끝에 리명운과 접촉한 박석영은 광고 사업을 빌미로 북한 곳곳을 돌아다니려 한다. 그가 리명운, 그리고 인민군 장교인 정무택(주지훈)과 함께 사업을 벌이는 동안 1997년 대선이 다가온다. 박성영은 최학성과 여당 정치인들이 대선을 앞두고 무언가를 꾸미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안기부의 새로운 명령의 따를지, 기존의 공작을 완수할지 고민하기 시작한다.



 최근 남북관계를 소재로 한 작품들이 방학 시즌 텐트폴 영화로 떠오르고 있다. <공조>부터 <브이아이피>, <강철비>, 얼마 전 개봉한 <인랑>까지 다양한 작품들이 떠오른다. 게다가 5월에 있었던 남북정상회담이 열려 남북한을 소재로 담은 영화들에 대한 관심 또한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와중에 개봉한 <공작>은 90년대라는 멀지 않은 과거를 이야기하고 있다. 흑금성이라는 인물은 지금과 같은 상황에 적절한 소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업가로 위장하여 북한에서 남한 기업의 광고 촬영과 금강산 관광을 빌미로 북한에 들어가려다가 결국 대북 사업가가 되어버린 인물이라는 점은 흑금성의 이야기가 통일을 이야기하는 지금과 썩 어울리는 이야기가 아닐까? 게다가 당시 여당의 정권을 유지하려는 안기부와 자신이 수행하는 공작 사이에서 고민하는 박석영의 모습은 무엇을 청산하고 무엇을 취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현재 시점의 상황과도 썩 어울린다.



 이러한 과정에서 악수와 건배라는 제스처는 썩 적절하게 활용된다. 악수는 본래 서로가 무기를 들고 있지 않음을 알려주기 위한 행동이다. 이제는 의례적인 절차이지만 종종 상징적으로 느껴진다. 최근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서의 악수가 그렇다. <공작>의 인물들은 쉽게 악수를 건네지 않는다. 그들의 악수는 대부분 의미심장한 표정과 함께한다. 서로를 시험해 보는 순간, 드디어 신뢰를 쌓았을 때, 각자의 신념을 인정하고야 말 때 그들은 악수한다. 이러한 과정은 의심 없이 악수할 수 있을 때가 되어야 공존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하려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들의 건배 또한 그렇다. 박석영은 공작원이 되기 위해 날마다 술을 마셨지만, 흑금성이라는 이름을 얻은 이후에는 술을 마시지 않는다. 때문에 그는 건배를 하지 않는다. 대신 리명운에게, 심지어 김정일(기주봉)에게 술을 따라주기만 한다. 후반부에 이르러, 그는 리명운과 건배를 한다. 부모님까지 들먹여가며 술을 피하던 그가 건배를 하는 순간은, 각자의 신념에 대한 이해와 신뢰가 들어있는 건배다. 남북정상회담을 연상시키는 마지막 장면의 악수 (직전의 순간) 또한 그렇다.



 다만 <공작>은 영화의 제작사인 사나이픽쳐스의 다른 영화들과 유사한 지점에서 좋아하기엔 어려운 작품이다. 듀나 작가는 <공작>을 보고 최근 한국영화 속 북한은 “잃어버렸다고 생각하는 남성성이 남아있는 오아시스” 같다고 이야기했다. 극도로 남성적인 한국영화가 남성성을 마음껏 발현할 새로운 공간인 북한을 찾아낸 것이다. 이것을 액션으로 드러낸 <공조>나 <강철비>, 여성혐오적 범죄로 드러낸 <브이아이피> 등은 이러한 공통점을 가진다. <공작>은 누군가 죽거나 부상당하는 액션이나 범죄 대신 대화라는 전략을 택했다는 점에서 신선하긴 하다. 허나 경상도 사투리를 쓰며 사업가를 연기하는 박석영이나, 공산주의 체제에 있지만 여러모로 (남성화된) 자본주의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리명운과 정무택의 모습에서 어떤 지겨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박석영과 리명운의 브로맨스로 흐르는 후반부는 한국영화의 어떤 고질병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유사한 영화에 겹치기 캐스팅으로 자신들을 소비해버린 배우들의 비주얼에서 느껴지는 기시감도 이러한 지겨움에 한몫한다. 때문에 <공작>은 오랜만에 등장한 웰메이드 한국 상업영화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한국영화에 대해 어떠한 갈증을 가질 수밖에 없는지 재확인하는 작품이기도 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