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로운 영화 리스트' 태그의 글 목록 :: 영화 보는 영알못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관람하고 정리가 안 되어 이번 사사로운 영화리스트 상영을 통해 재관람했다. 영화의 설정은 단순하다. <신체강탈자의 침입>처럼 외계인들이 어느 인간들의 몸을 빼앗아 지구를 침략할 준비를 한다. 그 준비는 침략 대상인 인간들을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개념을 모으는 것이다. 침략자들은 사람들에게 이미지화된 개념을 빼앗는다. <산책하는 침략자>는 소유, 가족, 일, 자신, 타인 등의 개념이 사라지고 언어화되어 흩어졌기에 모두 백지화하고 개념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고 말하는 영화처럼 보인다. 침략자인 신지나 아마노는 개념을 빼앗긴 인간들을 보고 행복해 보이지 않느냐고 말한다. 인간들이 지니고 사는 개념들은 온갖 언어에 의해 해체되었고 변질되었다. 언어로써 설명될 수 없는 개념을 이미지로 떠올렸을 때 침략자들은 개념을 약탈해간다. 개념을 빼앗긴 인간은 그제야 비로소 언어로서 설명될 수 없는 개념의 굴레에서 해방된다. 영화 말미에 이르러 결국 침략이 시작된다. 나루미는 신지에게 사랑이라는 개념을 가져가 달라고 이야기한다. 신지는 사랑이라는 개념을 빼앗아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침략은 멈춘다. 영화는 그로부터 두 달 뒤, 침략 이후 재건되는 어느 마을에서 마무리된다. 신지는 나루미가 입원한 병실을 찾는다. 앉아있는 둘은 서로 시선이 엇갈리게 앉아있다. 침략자들은 인간은 가질 수 없던 개념, 특히 사랑이라는 개념을 꽤나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실천한다(혹은 그런 것으로 보인다). 언어를 통해 어그러질 대로 어그러진 개념을 인간들은 조금씩 회복하고 있지만, 유독 사랑을 빼앗긴 나루미는 그렇지 못하다. 신지와 나루미의 엇갈린 시선은 다시 마주할 수 있을 것인가? 의사는 어떻게든 치료법을 찾을 것이라 말하지만 엇갈린 시선은 그 가능성마저 무시하는 것 같다. 어쩌면 <산책하는 침략자>의 결말은 사랑을 이야기하는 <우주전쟁>의 따뜻한 가족주의처럼 느껴질 여지도 있다. 그러나 나루미와 신지의 시선은 냉소적으로 그 가능성을 비웃는 기요시의 시선처럼 느껴진다. 

 처음으로 관람한 왕빙의 작품이다. 영화는 중국의 어느 마을에서 살아온 팡슈잉의 임종 직전 며칠간을 카메라에 담는다. 카메라는 클로즈업으로 죽어가는 팡슈잉의 멈춰있는 눈과 입을 담고 풀샷으로 방에 있는 가족들의 모습을 담는다. 카메라와 팡슈잉의 눈은 서로를 응시하다가도 가족에게로 방 밖으로 (팡슈잉은 TV를 응시하기도 한다) 눈을 돌린다. 여기서 가시화되는 것은 사람의 죽음 자체라기보다 죽은 사람을 둘러싼 사소하면서 거대한 관계들이다. 번갈아 가며 병간호를 하고 거의 모든 가족이 모여 임종을 지키며 종종 낚시를 하러 나가는 가족이라는 집합과 관계들. 팡슈잉의 죽음이라는 이슈는 그를 둘러싼 사람들의 관계로 확장되고, 그가 죽음에 가까워질수록 자식 된 도리라던가 장례절차 등을 이야기하는 가족들의 관계망 자체만이 점점 가시화된다. 생과 사의 경계에서 결국 남게 되는 것은 생 속에 있는 것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과연 카메라와 같은 매체는 죽음을 제대로 가시화할 수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방식으로도 카메라가 도달할 수 없는 미지의 것이기에 정녕 불가능한 것인지 혹은 죽음 근처에 널려있는 관계 등을 조망하는 것으로 충분히 가시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 중인 요양원에서 종종 보게 되는 죽음과 치매라는 질병, 침대나 휠체어에 몸을 맡기고 있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는 노인과 그들을 보러 집과 요양원을 오가는 가족들의 대비가 <미세스 팡> 안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활력과 비활력적 상태 사이에 존재하는 생과 사의 경계는 결국 살아남은 사람들에 의해 기록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죽음이라는 것은 살아남은 사람들이 가지는 관계를 통해 기록되는 것이 아닐까? 결과적으로 <미세스 팡>이 가시화한 것은 더 이상 관계할 수 없는 망자와 그를 둘러싼 살아남은 자들 사이에서 활력을 가진 관계망의 강렬한 대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