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전장> 미키 데자키 2018
<주전장>이 ‘주전장’으로 여기는 곳은 미국이다. 일본계 미국인인 미키 데자키는 ‘일본 내 인종차별’에 대한 유튜브 영상을 제작한 뒤 우익들로부터 공격을 받게 되고, 그러던 중 일본 우익들의 대변자격인 백인 미국인 유튜버 ‘텍사스 대디’의 존재를 알게 된다. 그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리기 위한 소녀상 건설에 반대한다는 영상을 보게 되고, 미키 데자키는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표면적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국과 일본 간의 문제인데, 어째서 미국 땅인 글렌데일에 소녀상이 세워지고, 백인들이 일본을 옹호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미키 데자키 감독은 미국, 한국, 일본을 바쁘게 돌아다니며 수많은 이들을 인터뷰한다. 일본의 수정주의/부정주의 사관을 지닌 우파들은 물론, 일본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는 이들, 한국의 ‘한국정신대문제대책위원회’의 운영주체들, 미국에서 활동하는 일본 우익세력들, 여러 역사가, 정치인, 법학자, 여성학자, 2차 대전 당시의 참전군인 등이 영화 속에 등장한다.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해 수많은 말을 쏟아내고, 미키 데자키의 내레이션 또한 쉴 틈 없이 쏟아진다.
<주전장>의 내용을 요약 하지면, 일본군이 동아시아 특유의 가부장적이며 성차별적인 사회를 이용해 ‘위안부’ 시스템을 만들어냈고, 일본 제국주의, 파시즘이 이를 사용했으며, 종전 이후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한미일 동맹이 절실했던 미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은폐하도록 유도 및 지원했으며, 이 문제가 수면으로 드러난 90년대 이후 일본 우익 세력이 다른 동아시아 국가에 대한 일본의 인종차별, 성차별, 사실상의 제정일치 사회로써의 파시즘을 통해 은폐 및 거짓 정보를 확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미키 데자키는 수많은 이들의 말을 통해 이 사실을 촘촘하게 엮어낸다. 논리적이고 빠른 전개는 <주전장>의 특징인데, 계속해서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 속에서도 위트를 잃지 않으며 리듬을 유지한다는 것이 이 영화의 강점일 것이다.
영화를 보면서 떠오른 말은 “혐오자는 한 가지 혐오만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이 거짓이라 주장하고, 난징대학살은 존재하지 않는 사건이라 주장하는 이들은 성차별적인 행동과 언행을 반복하고, 한국과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인종차별을 일삼으며, 전쟁 이전의 사회를 그리워한다. 미키 데자키가 영화의 마지막에서 언급한 결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사실 이 결론, 혐오와 차별을 멈춰라라는 결론은 일본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성차별은 한국에도 존재하고, 일본인이 한국과 중국에 대한 인종차별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인은 일본과 중국에 대한 인종차별을 한다. 수많은 시선과 의견이 충돌하는 전장에서, 혐오와 차별이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이들을 주시해야 한다는 것이 <주전장>의 목표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복잡하고 난해한 문제를 다각도로 파고들면서도 무엇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게 가로막는 것인가라는 핵심에 집중했다는 점에서, <주전장>은 주목해봐야 할 작품이다.